업무를 통하여 직장이나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, 혹은 자신의 성장을 위해 그때 그때 자신의 역량을 파악해 두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실력을 과신하면 헛수고할 가능성이 커지고, 과소평가하여 위축되면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없습니다. 자신의 역량을 어떻게 파악하는 것이 좋을까요?
목록
나는 나를 파악할 수 없다

사람은 자신을 외부에서 파악할 수 없습니다. 대부분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“아마 이 정도겠지”라는 희망 사항을 포함해 파악하고 있을 것입니다.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도, 길지 않은 인생 경험에서 우연히 잘 풀렸거나 좋아하는 것을 장점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릅니다. 그리고 잘 못한다고 생각했던 것이 실제 경험해보면 의외로 잘 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.
주위의 사람들 안에 있는 자신을 관찰하자

타인에 대해서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이와 같이 주위 사람들은 나를 잘 파악하고 있습니다. 주위 사람들의 자신에 대한 말투와 태도를 살펴보고 이를 받아들입시다. 가끔 이해할 수 없는 말투와 행동을 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하지만 계속되는 지적에 위화감을 느낀다면, 나 자신에 대해 스스로 판단했던 것들이 틀렸을지도 모릅니다. 나는 꼼꼼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타인에게 사소한 실수를 계속 지적 받는다면 검토를 대강했다거나 검토 요점을 이해 못했을 지 모릅니다.
타인은 당신이 알지 못하는 당신의 성향도 알고 있을 수 있습니다.
자신의 능력을 한정하지 않는다

“나는 이런 사람이다, 나는 이런 것들이 특기다, 그러니 이런 일들을 하고 싶다”라는 생각으로 일을 선택하거나 특정하는 사람이 있습니다. 하지만 잘 못한다고 생각했던 일도 막상 해보면 생각보다 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잘 못한다고 생각하면 더욱 주의 깊게 일을 진행하므로 스피드는 떨어지지만 정확하게 일 처리를 하게 됩니다. 잘한다고 생각했던 것도 사실은 좋아할 뿐 스킬이 부족한 경우도 있습니다.
자신에게 맞고 맞지 않는 판단은 우선 도전해보고 나서도 충분합니다. 선입관에 사로잡히면 능력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일을 잘하는 사람을 관찰한다

나 자신을 이해하고 능력을 높이고 싶다면 “이 사람은 일을 잘하네”라고 느껴지는 사람의 행동을 관찰합시다. 그리고 비슷한 일을 맡는 경우 비교해 봅니다. 그 사람의 어떤 점이 뛰어난지, 어떻게 했기 때문에 뛰어난지를 생각해보면 자신의 부족한 점을 알 수 있습니다.
이는 타인을 통하여 자신을 파악하는 것입니다. 그리고 익히고 싶은 스킬도 알 수 있습니다.
마무리
자신을 스스로 파악하는 것은 힘듭니다. 하지만 주변 사람들은 자신을 비추는 거울입니다. 주변 사람들에게 비춰지는 자신과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을 분석하여 능력을 확실히 파악합시다. 그리고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합시다.